티스토리 뷰

 

 

 

 

 

 

 

L1 ~ L7 Switch

 

어떤 계층의 헤더를 사용하여 패킷 교통정리(?)를 하냐에 따라 레이어가 나뉘게 된다.

 

 

 

L1

 

Hub

1 계층의 장비

패킷을 수신하고 연결된 모든 기기에 패킷을 전달

인터넷 통신을 하려면 상위계층 장비를 같이 사용해야 함

 

L2

 

Switching hub

Hub의 확장 개념, 속도가 빨라지고 충돌 제어를 한다.

Mac Address를 참고하여 역할 수행

패킷을 수신하고 연결된 적당한 목적지(기기)에 패킷을 전달

 

 

L3

 

Router

IP 정보를 참고하여  역할 수행

패킷의 위치를 가져와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경로 설정),

패킷을 다음 장치로 이동시키는 장비 (스위칭)

LAN 대역과 LAN 대역을 이어주는 장비

 

 

가정용 공유기

공유기는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L3 스위치(기업용)의 염가판이라 하며 L3 스위치 기능의 대부분을 사용 가능합니다.

L3 스위치와 차이점은 처리량입니다.

 

 

L4

 

L4 switch는 곧 로드 밸런싱(부하 분산)이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은 서버가 아닌 L4 Switch를 거쳐야 합니다.


 

 

 

 

 

 

 

 

 

 

2, 3 계층 관점에서의 보는 통신

 

 

 

 

 

 

기업용 스위치 장비를 이용하는 것 과 가정용 공유기는 통신과정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업에서는 계층마다 나누어진 장비를 통해 역할을 각자가 나누어할 테지만 
가정용 공유기는 NAT, GateWay, L2, L3 Switch 등.. 모든 역할과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글쓴이도 네트워크에 대하여 공부하는 중이고
위 이미지는 기업용, 가정용 통신과정이 섞여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  

A computer에서 B computer가 통신한다.

 

2.

Bcomputer의 LAN대역으로 가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

 

3.

192.168.10.1(LAN대역 1의 Router)로 패킷을 보내기로 한다.

 

4.

L2 Switch에서 192.168.10.1로 가기 위해 가야 할 2 계층의 주소(LAN대역 1의 Router)로 패킷을 보낸다.

(ethener protocol을 다시 캡슐레이션 하는지는 부정확)

 

5.

Router에 도착하여 ethernet header를 다시 작성한다.(LAN대역 2안에서 경로를 위한 정보로 변경)

그리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한다.

(패킷에 A Computer의 사설 IP 정보를 Router IP로 변경한다 사설 IP 정보는 따로 저장)

 

6.

이렇게 LAN대역 2, 3에서 반복한 후 B Computer에 패킷이 도착한다.

 

 

 

 

반응형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0) 2022.12.25
Queue Data Structure  (0) 2022.08.07
Linked List Data Structure  (0) 2022.07.26
라우팅 테이블  (0) 2022.06.16
OSI3계층 ICMP 프로토콜 헤더의 구조  (0) 2022.06.10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